Routing 정리
routing
- routing table을 통해 packet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입니다.
routing protocol
- routing table을 만들기 위한 규약입니다.
- AS의 외부, 내부를 기준으로 EGP와 IGP로 나뉩니다.
- EGP(Exterior Gateway Protocol): AS 간의 연결 규약
- IGP(Interior Gateway Protocol): AS 내부의 연결 규약
- AS(Anonymous System)는 간단하게 사내망, 내부망, LAN(Local Area Network)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.
IGP(Interior Gateway Protocol)
- Distance Vector, Link State를 사용합니다.
- Distance Vector: Bellman-Ford Algorithm을 사용합니다.
- 이웃한 router와만
주기적으로
연결 정보를 공유하며 자신의 routing table을 계속 갱신합니다. - ex) RIP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, IGRP, etc…
- 이웃한 router와만
- Link State: Dijkstra Algorithm을 사용합니다.
- 각 router마다 이웃 router들의 연결 정보를 전체 router와 공유하여 전체 구성도를 그린다.
변화가 발생할 때마다
다시 정보를 공유합니다. - ex) OSPF(Open Shortest Path First)
- 각 router마다 이웃 router들의 연결 정보를 전체 router와 공유하여 전체 구성도를 그린다.
- Distance Vector: Bellman-Ford Algorithm을 사용합니다.
EGP(Exterior Gateway Protocol)
- router들 간의 통신이 되어야 하므로, Path Vector로 통일되어 있습니다.
- Path Vector: Distance Vector와 같이 Bellman-Ford Algorithm을 사용합니다.
- Distance Vector와 달리 목적지의
경로
까지 명시합니다. - 명시된 경로를 바탕으로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.
- ex) BGP4(Border Gateway Protocol)
- Distance Vector와 달리 목적지의
- Path Vector: Distance Vector와 같이 Bellman-Ford Algorithm을 사용합니다.
BGP
- BGP는 TCP로 만들어진 규약으로 4 layer에 해당됩니다.
- BGP routing을 생성하기 위해 ASN(AS Number)을 Internet Registry에서 할당 받습니다. 이 번호는 고유합니다.
- Internet Registry: 인터넷 자원을 관리하는 단체
- ASN을 기반으로 두 router는 BGP session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여 서로를 연결합니다. 이를 BGP Peering이라 합니다.
참고